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표리부동 교언영색 부화뇌동 [1] 고사성어를 배우는 포스팅을 시작해보려 합니다. 우리가 많은 것을 알수록 말하는 방법과 생각의 깊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저도 그렇게 느끼고요. 그래서 오늘부터 지속적으로 3가지의 고사성어(사자성어)를 작성하면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오늘 배워볼 사자성어는 표리부동, 교언영색, 부화뇌동입니다. 저는 처음 들어본 사자성어입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표리부동 表(겉 표)裏(속 리)不(아닐 불(부))同(같은 동) 한자의 뜻만 본더라도 어떤 뜻인지 대충 감이 잡히시죠? 겉과 속이 같지 않다는 뜻으로 속마음과 다르게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언행불일치와 같은 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니면 교모한 사람들에게 쓸 수 ..
목불식정 - 오늘의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이라는 말은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즉 일자무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고무래라고 하는 것은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흑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데 사용되는 농기구입니다. 우리의 삶도 그렇지 않나요? 우리 삶에 놓여진 것이 무언인지 알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있지만 그것이 되는지 안되는지 의심만하고, 행동하려 하지 않죠. 이 세상이 누군가에겐 성공을 주고, 누군가에겐 실패를 주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매년마다 성공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에 따른 많은 부를 축적하고 있을까요?
네이버 사자성어 사전 펼쳐보기- 모음, 명언어릴 적에 한자를 배울 땐 사자성어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요즘에는 그런 것에 왜 이렇게 멀어졌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책보단 영상을 더 많이 접하다보니까, 책으로 공부하는 것이 어색해져서 그런걸까요? 이번 기회에 사자성어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가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같이 네이버 사자성어 사전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사자성어를 찾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 공부 그리고 TV에서 누군가 사자성어를 말했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 모를 때 찾기도 하죠. 어떤 이유인진 모르지만 그래도 궁금해서 찾아본다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그런데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는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고사성어는 말 그대로 옛고, 일사. 옛날에 일어난 일들을 함축하여 만든 내용..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