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적금 상품 목록 훑어보다 :))) 벌써 일요일이 지나갔습니다. 이번 주 시작은 잘 하셨나요? 이번 콘텐츠도 금융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모바일 가계부를 사용해서 제가 가진 자산들을 정리해야 할 것 같아서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뱅크 샐러드'를 다운 받아서 현재 제가 이용하고 있는 은행을 연동하고 있는데요. 거래를 하는 곳이 이곳 저곳이다 보니 연동할 곳이 많은데요. 그래서 느낀게 있습니다. 왠만하면 1곳에서만 거래하는게 가장 좋을 것 같다는 생각. 보니까 계좌 그대로 다른 은행에서도 옮길 이전하는게 가능한 것 같더라구요. 저는 국민은행에서 사업자를 사용하고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을 개인계좌로 이용하고 있는데, 하나은행에서 국민은행의 계좌 그대로 하나은행으로 옮길 수 있다고 말씀해주..
저축은행중앙회 예금금리비교은행들의 예/적금에 대한 금리를 확인하려면 은행 홈페이지마다 들어가서 확인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혹시 아직도 그렇다면 지금 이 글을 주목하세요. 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 저축은행들의 예/적금을 물론 대출금리까지 비교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저축은행과 금융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니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 참고하시면 상당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예금금리에 대한 방법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축은행의 경우 1금융권보다 예금금리가 높습니다. 그래서 인지 저축은행을 이용해서 많은 이자를 챙겨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 중에선 예금자보호가 안되는 상품들도 있기 때문에 가입 전에 반드시 확인하셔야만 합니다. 그리고 재무건전..
예금이자 계산기의 3가지 세금이야기 (과세, 비과세, 세금우대)은행에 예금상품에 가입해서 돈을 예금하면 이자를 주는 건 알겠지만, "거기에서 이자가 빠져나간다?" 알고 계셨나요? 의외로 예/적금한 금액의 이자만 신경쓰고, 이자에 대한 이자세금에 대해선 신경안쓰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사실 그런 부분을 크게 신경쓰지 않았는데요. 이를 활용하면 근 금액의 이자를 받을 때 이자금액을 높여서 받을 수 있답니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예금 이자 계산기를 활용해서 직접 3가지의 이자세금 별로 설정해서 계산해보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겠죠? 어떤 일을 할 때 무턱대고 하는 것보다 그와 관련된 이론들을 공부하고 최대한 많은 것을 습득한 상태 혹은 습득하면서 해야만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고 봅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